목차
국민건강보험 환급금이란?
국민건강보험 환급금은 가입자가 납부한 보험료 등이 이중납부 또는 착오납부되었거나, 정상적으로 부과·고지되었음에도 건강보험 자격의 소급 상실 또는 부과자료의 소급 감액조정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환급금을 말합니다. 참고로 국민건강보험 환급금은 소멸시효 관련 법에 의해 보험료를 납부한 날로부터 3년 이내에 신청해야 돌려 받을 수 있습니다. 기간이 지났을 경우 돌려받을 수 있는 권리가 소멸되니 주의 하시길 바랍니다.
인터넷을 통한 환금금 조회
국민건강보험 환급금을 조회하기 위한 방법은 다양한데요. 그중 인터넷을 통한 환급금 조회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먼저 포털에서 국민건강보험을 검색하여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아래 바로가기 링크를 이용하면 편리합니다.
국민건강보험 환급금을 조회하기 위해서는 로그인을 해야 합니다. 건강보험관련 정보가 개인정보이다 보니 로그인을 해야만 환급금 조회가 가능합니다. 개인으로 선택후 공동/금융인증서나 간편인증을 통해 로그인 해줍니다.
로그인한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아래와 같은 메인페이지가 나옵니다. 페이지 중단 좌측에 환급금 조회/신청 메뉴가 있습니다. 클릭합니다.
환급금(지원금) 조회/신청 페이지가 나오고 환급금 조회가 됩니다. 아쉽게도 저는 환급받을 환급금이 없네요.
스마트폰을 통한 환금금 조회
국민건강보험 환급금을 조회하기 위한 방법 두번째 방법은 스마트폰을 통한 환급금 조회입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는 환급금 조회등 각종 건강보험관련 민원을 처리가능한 앱인 "THE 건강보험"앱 개발했습니다. 구글플레이스토어나 앱스토어에서 "THE 건강보험"앱을 다운받으면 됩니다.
THE 건강보험도 인터넷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회가 가능합니다. 인증서를 통해 로그인한 후 메인 페이지 상단 민원여기요 => 하단 환급금 조회/신청을 클릭하면 환금금 내역이 나옵니다. PC로 조회하는 것보다 더 간편하게 국민건강보험 환급금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우편물, 전화를 통한 환금금 조회
우편물을 통한 환금급 조회
환급금이 발생하면 국민건강보험단에서는 정기적으로 우편을 보내주게 됩니다. 해당 우편물에는 환급내역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우편물을 받은 가입자는 우편물에 동봉되어 있는 환급금 신청서를 작성하여 지정된 우편 또는 팩스로 환급금 신청서를 보내주면 됩니다.
전화를 통한 환급금 조회
우편을 받지 못하였거나 인터넷 활용이 어려운 분들은 국민건강보험공단 고객센터 1577-1000을 통해 국민건강보험 환급금 조회를 할수 있습니다.
국민건강보험 환급금 조회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어떠셨나요? 제가 작성한 포스팅이 여러분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는 정보이였으면 좋겠습니다. 끝까지 읽어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좋은 하루 보내세요.
마지막으로 청년들과 사회적 약자를 위한 복지제도가 정말 많이 있으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분들이 복지제도의 존재조차 알지 못해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청년과 사회적 약자를 위한 대표적인 복지제도를 아래와 같이 정리해 보았습니다. 들어가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무주택청년월세지원 |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 청년희망적금 |
근로장려금 | 경기도청년지원금 | 경기청소년교통비지원 |
청년우대형청약 | 인천이음카드발급 | 기초연금수급자격 |
청년내일채움공제 | 청년내일저축계좌 | 국민내일배움카드 |
문화누리카드 | 주거급여 | 청년구직활동지원금 |
함께 보면 도움이 될 포스팅
서울시 청년수당 총정리
목차 서울시 청년수당이란? 서울시에 거주하고 있는 만 19세~34세 미취업 또는 단기 근로 청년에게 활동지원금(월 50만원 최대 6개월)을 지급하고, 경제상담·마음상담·취업역량강화 교육 등 청년
info.give-info.com
2022년 청년주거급여 분리지급 신청
2022년을 살아가는 대한민국 청년들의 삶은 참으로 힘겹습니다. 코로나로 인한 경제 위축과 자산가격상승으로 인한 인플레이션은 청년들의 빈부격차와 취업난을 더욱 가속화시키고 있습니다.
news.give-info.com
숨은 정부지원금 찾기
대한민국 경제가 발전하면서 정부에서 국민에게 제공하고 있는 복지들도 정말 다양해 졌습니다. 하지만 많은 복지들이 본인이 신청을 해야 받을 수 있는 것들이 많은데요. 본인이 받을 수 있는
info.give-info.com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식품바우처 카드 신청 방법 (0) | 2022.03.15 |
---|---|
국토부 아파트 실거래가 조회 하기 (0) | 2022.01.24 |
문화누리카드 사용처 (0) | 2022.01.20 |
hp 프린터 드라이버 다운로드 (0) | 2022.01.19 |
2022년 4대보험요율 총정리 (0) | 2022.01.14 |